by 해외문학팀 이정화 편집자

394_케이크와맥주_입체북.jpg

<aside> 💡 다음 글은 세계문학전집 394번 <케이크와 맥주>를 추천하는 편집자의 레터입니다. 해외문학팀에서 <아우라>를 이어 야심차게 꼽아주신 ‘공원에 누워 읽고 싶은 책’! <케이크와 맥주>의 매력, 함께 읽어 보실까요? 🙂

</aside>

안녕하세요. 독자님

민음사 해외문학팀 이정화 편집자입니다.

꽃도 피고 햇살도 따듯하고~ 이런 날 밖으로 아니 나갈 수가 없지요. 푸릇푸릇한 풀 보러 공원에 가거나 일렁이는 물 보러 강변에 갈 때 옆구리에 딱 끼고 가기 좋은 책 한 권을 소개할까 해요. 바로 서머싯 몸의 **『케이크와 맥주』**입니다.

케이크와 맥주라니, 제목부터 식욕이 돋워지지요. :)

유명 인사와 유사해 파장을 일으킨 ‘풍자 소설’

우리에겐 『달과 6펜스』로 잘 알려진 서머싯 몸이 작가로서의 원숙기에 접어든 1930년에 발표한 이 소설은 당시 문단의 내막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데다 등장인물이 유명 인사와 유사해 파장을 일으키기도 한 풍자 소설이에요. 작품 속에 등장하는 거장 소설가의 실제 모델로 『테스』를 쓴 토머스 하디가 지목되기도 했어요. 잉글랜드 남부의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든가, 맥주를 좋아한다는 점, 아이의 죽음과 관련한 장면으로 인해 금서 초지가 된 이력이 작품 속 인물과 겹치기 때문이었죠.

줄거리, 테마 소개 : ‘유희와 쾌락’

줄거리는 이러합니다. 어셴든은 거장 에드워드 드리필드의 전기를 쓰게 된 동료 작가 앨로이로부터 그에 관한 정보를 알려 달라는 청을 받아요. 무명 시절부터 드리필드와 친분이 있었던 어셴든은 젊은 시절 패기와 열정이 넘치던 드리필드와 그의 첫 번째 부인인 로지를 회상하지요. ‘케이크와 맥주’라는 제목이 시사하듯 이 작품의 주요한 테마는 삶의 유희와 쾌락입니다. 서머싯 몸은 평소 **‘쾌락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고 해서 쾌락이 아닌 것은 아니’**라고 말하며 관념과 도덕에 지나치게 치우치는 걸 경계했어요. 실제로 드리필드는 건강한 삶의 유희를 간직한 로지가 그의 곁을 떠나고, 설상가상 후견인을 자처하는 트래퍼드 부인이 그를 구속하면서, 작가로서는 성공하지만 삶에서는 점점 생기와 개성을 잃어가지요.

서머싯 몸이 『인간의 굴레에서』의 못다 한 이야기

『케이크와 맥주』는 작가 스스로 밝히듯, 몸의 최고작으로 평가받는 『인간의 굴레에서』(1915)에서 못다 한 이야기를 풀어낸 작품이에요. 『인간의 굴레에서』가 정념에 의한 인간의 내적 예속을 다루었다면, 이 작품에서는 한 작가의 생애를 통해 인간을 구속하는 외적 요인, 사회적 굴레에 초점을 맞추지요. 제목인 ‘케이크와 맥주’는 물질적 쾌락, 혹은 삶의 유희를 뜻하는 관용구로 셰익스피어의 희극 「십이야」에 등장합니다.

이 장면이에요. 올리비아의 집에서 사랑의 노래를 부르며 흥청거리는 앤드루 경과 토비 경에게 집사 말볼리오가 소란을 멈추라고 다그치자, 토비 경이 다음과 같이 응수하지요.

“자네가 도덕적이라고 해서 케이크와 맥주가 더는 안 된단 말인가?”

‘케이크와 맥주’처럼 건강하고 즐거운 쾌락을 대변하는 인물: 로지